2025 육아휴직급여 조건 및 신청 방법
아래 내용에서 자세히 확인하세요 ▼
출산율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5년부터 육아휴직 제도가 대폭 개편되었습니다.
일과 육아를 병행해야 하는 맞벌이 가정과 한부모 가정을 위해 실질적인 혜택이 강화된 이번 제도, 꼭 확인해보세요.
육아휴직급여란?
육아휴직급여는 임신 중이거나,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근로자가 아이를 돌보기 위해 회사를 쉬는 동안 국가에서 일정 금액을 지원해주는 제도예요. 최대 1년 6개월까지 받을 수 있고, 부모가 함께 사용하거나 혼자 아이를 키우는 경우엔 더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육아휴직 급여, 얼마나 받을까?
육아휴직 급여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직장에서 받던 월급(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돼요. 처음 몇 개월은 더 많이, 시간이 지나면 조금 줄어드는 방식이에요.
기간 | 급여 수준 | 월 상한액 |
---|---|---|
1~3개월 | 통상임금 100% | 250만원 |
4~6개월 | 통상임금 100% | 200만원 |
7개월~ | 통상임금 80% | 160만원 |
예시: 월급이 230만원인 아빠가 육아휴직을 시작하면, 처음 3개월은 230만원 전액을 받고, 그 다음 3개월은 200만원까지, 이후엔 160만원까지만 받을 수 있어요.
부모 함께 육아휴직제(6+6) 혜택
아빠와 엄마가 같은 아이를 위해 함께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급여가 더 많아져요. 특히 아이가 생후 18개월이 되기 전에 사용해야 이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개월 | 월 상한액 |
---|---|
1~2개월 | 250만원 |
3개월 | 300만원 |
4개월 | 350만원 |
5개월 | 400만원 |
6개월 | 450만원 |
예시: 아이가 태어난 지 10개월 되었을 때, 엄마가 먼저 육아휴직을 3개월 쓰고, 아빠가 그다음 3개월을 이어서 사용하면(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 시) 6개월차에는 최대 450만원까지 받을 수 있어요.
* 7개월 이후 급여는 일반육아휴직급여(통상임금 80%, 월 160만원 상한)로 적용됩니다!
한부모 육아휴직급여
혼자서 아이를 키우는 경우에는 급여가 더 높게 책정돼요. 첫 3개월 동안은 월 최대 300만원까지 받을 수 있어요.
기간 | 급여 수준 | 월 상한액 |
---|---|---|
1~3개월 | 통상임금 100% | 300만원 |
4~6개월 | 통상임금 100% | 200만원 |
7개월~ | 통상임금 80% | 160만원 |
예시: 엄마 혼자 아이를 키우는 경우, 월급이 290만원이라면 처음 3개월은 290만원을 그대로 받고, 이후엔 200만원 또는 160만원으로 줄어요.
육아휴직급여 지원 자격 요건
1. 고용보험
2. 휴직기간
3. 신청기한
육아휴직급여 신청 절차
1. 회사에 육아휴직 확인서 요청
2. 가입 기간 확인
3. 육아휴직급여 온라인 신청
4. 고용센터 방문 신청
육아휴직급여 신청 시 주의사항
특히, 주 15시간 넘게 일하거나, 한 달에 150만원 이상 벌면 문제가 돼요.
⚠️ 육아휴직급여는 신청기한이 지나면 지급되지 않기 때문에, 매월 신청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부득이 매월 육아휴직급여 신청이 어려운 경우, 육아휴직 종료 후 빠른 시일내에(최대 12개월 이내) 신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 육아휴직을 나눠서 써도 급여 받을 수 있어요?
A. 네! 최근 1년 안에 육아휴직을 여러 번 나눠서 썼더라도, 합쳐서 30일 이상이면 급여를 받을 수 있어요.
Q. 복직 날짜가 바뀌면 신청 기간도 바뀌나요?
A. 네. 실제로 복직한 날짜가 기준이 돼요. 날짜가 바뀌면 고용센터에 알려야 해요.
Q. 매달 꼭 신청해야 하나요?
A. 매달 신청하는 게 좋아요. 하지만 사정이 있다면 한 번에 몰아서 신청해도 돼요. 단, 육아휴직 끝나고 1년 안에 꼭 해야 해요!
Q. 자영업자도 받을 수 있나요?
A. 안타깝게도 자영업자나 프리랜서는 해당되지 않아요. 회사에 다니는 고용보험 가입자만 대상이에요.
Q. 부업하면 어떻게 되나요?
A. 부업은 가능하지만, 주 15시간 넘게 일하거나 월 소득이 150만원 넘으면 급여가 중단돼요. 꼭 신고해야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