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급여 계싼 방법 상세 가이드
아래 내용에서 자세히 확인하세요 ▼
육아휴직 급여 계산법,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육아휴직급여는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기간에 따라 받을 수 있는 금액이 다릅니다. 여기서 말하는 통상임금이란, 매달 고정적으로 받는 기본급과 수당 등을 포함한 평균 월급을 말해요.
육아휴직급여 기본 계산 공식
통상임금 × 지급비율 = 월 육아휴직급여
단, 월 상한액을 초과하면 상한선까지만 지급됩니다.
육아휴직 기간별 지급비율 및 상한액
육아휴직 기간 | 지급 비율 | 월 상한액 |
---|---|---|
1~3개월 | 100% | 250만원 |
4~6개월 | 100% | 200만원 |
7개월~ | 80% | 160만원 |
예시: 통상임금이 270만원인 경우
▶ 1~3개월: 상한액 적용으로 월 250만원 지급
▶ 4~6개월: 월 200만원 지급
▶ 7개월 이후: 270만원 × 80% = 216만원 → 상한액 160만원으로 제한
부모 함께 육아휴직제 (6+6) 계산 예시
부모가 같은 자녀에 대해 생후 18개월 이내에 함께 육아휴직을 쓰는 경우, 첫 6개월 급여가 더 올라갑니다.
개월 | 상한액 |
---|---|
1~2개월 | 250만원 |
3개월 | 300만원 |
4개월 | 350만원 |
5개월 | 400만원 |
6개월 | 450만원 |
예시: 통상임금이 390만원인 경우, 6개월간 각각 해당 상한액까지 받을 수 있어요.
한부모 육아휴직 급여 계산
혼자서 아이를 키우는 근로자는 첫 3개월 동안 월 최대 300만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기간 | 급여 수준 | 월 상한액 |
---|---|---|
1~3개월 | 통상임금 100% | 300만원 |
4~6개월 | 통상임금 100% | 200만원 |
7개월~ | 통상임금 80% | 160만원 |
예시: 통상임금이 310만원인 경우 → 3개월간 300만원 상한 적용
이후 4~6개월 200만원, 7개월부터는 160만원까지 적용됩니다.
육아휴직급여 계산 팁
-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급여 모의 계산기를 활용해보세요.
- 통상임금은 근로계약서나 급여 명세서로 확인 가능해요.
- 본인 상황(한부모, 동시사용 등)에 따라 해당 특례 혜택도 꼼꼼히 체크!